본문 바로가기

주식

증거금, 증거금률 이란?

 [주식용어- 증거금률]

증거금률 넌 뭐니? 

 

 

안녕하세요..

주식초보 문하생 벅찬이 입니다.

 

키움HTS 영웅문 차트상에서 주식종목 이름을 클릭하면

여러 정보값들이 나오게 되요~

그중 '증거금률'에 관해 알아 봅니다.

흔히 얘기하는 '증거금'이죠.~

 

 

 

 

 

    증거금률이란?

 

 

 

 

증거금률 [ ratio of margin requirement ]
 
증권의 매매거래에는 두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하나는 실물거래며 다른 하나는 청산거래이다. 실물거래의 경우 증권회사는 주식을 매입하려는 사람에서는 자금을, 매각하려는 사람에게서는 주권을 받아야 하지만 청산거래의 경우에 있어서는 일일이 자금이나 주권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증권회사 또는 증권업자는 주권매입자에게는 자금대여형식을, 주권매각자에게는 주권대여형식을 취하게 된다. 그러나 실제로는 「샀다」「팔았다」로서 매매는 성립되는 것이므로 여기에 따르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위탁보증금을 받는 것이 보통이다. 거래대금에 대한 보증금의 비율을 증거금률이라 한다.

<출처 : 네이버용어사전>

 

 

 

    증거금률 이해하기

 

 

 

다시말해, 증거금률이란?

 

즉, 매수 주문을 낼 때 필요한 최소한의 현금금액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증거금은 종목별로 매수대금의 30%, 40%, 100% 등으로 차별화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증거금률이 40%란 이야기는 100만원의 주식을 사기위해서

그 금액의 40%에 해당하는 40만원만 있으면 100만원의 매수주문이 가능하다는 말입니다.

 

만약 100만원어치 구입을 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 종목이 증거금 40% 종목이라면 매수할때 100만원의 40%인 40만원만 당일 계좌에서 빠져나가고

나머지 60만원은 결제일인 d+2일날 계좌에서 빠져나가는 것입니다.

 

흔히 증거금이라고 하죠~..

즉, 증거금은 결제이행을 위한 보증금과 같은 성격입니다. 언젠가는 갚아야하는 금액이죠.

미수거래 없이 사용하시고 싶으시다면 증거금률 100% 로 설정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증거금?

 

 

증거금 (margin)

 

증권시장에서 고객이 주식을 매매할 경우 약정대금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미리 예탁해야 하는 보증금을 말한다. 현재 현물시장에서의 최저 증거금은 약정금액의 40%로 돼 있는데 증권당국은 시장 상황에 따라 증거금률을 조정, 장세조정의 수단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선물거래에서의 증거금은 가격변동에 따른 선물계약자의 계약이행 보증을 위해 선물거래 중개회사와 청산기관에 납부하는 담보적 성격의 금액을 말한다. 선물거래에서 증거금은 고객이 중개회사에 납부하는 위탁증거금과 청산회원이 청산회사에 납부하는 청산증거금으로 구분된다.

먼저 위탁증거금은 거래를 개시할 때 예탁하는 개시증거금과 선물계약잔고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지보증금, 손실이 발생하여 일정한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 개시증거금 수준으로 회복하는데 필요한 변동증거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청산증거금은 중개회사가 고객으로부터 납입 받은 위탁증거금 중에서 일부를 청산기관에 예탁하는 것을 말한다. 선물시장에서의 위탁증거금률은 현물시장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출처: 한국거래소 , 정보제공처: 이데일리 >